본문 바로가기

핫이슈/이슈

‘호갱'의 지갑을 터는 샤넬 가격 인하정책

'노 세일(No sale)' 전략으로 꼿꼿한 콧대를 세우던 명품 샤넬이 이례적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핸드백 가격을 15~20% 내렸다.


 

 

샤넬의 창업자 코코샤넬(가브리엘 샤넬, Gabrielle Chanel(1883~1971))은 “자신을 꾸미는 일은 사치가 아니다”라는 말로 여성들의 구매욕을 자극했다. 샤넬은 100년 가까이 전 세계를 호령하는 최고급 명품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샤넬이 ‘선망의 대상’이 된 이유는 따로 있다.

선뜻 구입하기 어려운 가격 때문이다.

‘초고가’라는 높은 진입장벽으로 여성들을 더욱 애간장 녹게 만드니,

명품을 선호하는 여성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실제로 샤넬은 꾸준히 가격인상 정책을 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 가격을 8번이나 올랐다.

그 결과 5년 동안 샤넬 가격은 3배 이상 올랐다.

샤넬의 대표 제품인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은 2012년 612만 원에 판매되었다.이 가방은 2007년에는 200만 원 수준이었다.

불과 5년 만에 판매가가 무려 3배나 폭등했다.

 ‘2.55 빈티지 미디엄’의 가격은 2007년 300만 원대에서

2012년 681만 원으로 뛰었다.

그 후로도 샤넬은 꾸준히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해 6월과 11월에 가격을 더 올렸다. 이로 인해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은 643만 원, 2.55 빈티지 미디엄은 715만 원까지 올랐다.

일부에서는 샤넬이 아니라 금넬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이쯤 되자 명품 핸드백을 가지려는 여성들은 더욱 안달날 수밖에 없었다. 샤넬 핸드백을 사려던 사람들은 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기 위해 발을 동동 굴렀고, 이미 핸드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앉아서 돈을 번 것 같이 흐뭇해했다. 이른바 ‘샤테크(샤넬 핸드백으로 재테크를 한다)’라는 말도 흘러나왔다.

그러나 콧대 높던 샤넬도 전세계에 불어닥친 경기불황을 만난다.

가격 인하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또 한 번 구매욕을 자극하기에 나섰다.

이번 인하폭은 15~20%다.

 

 

 

715만원에 판매되던 빈티지 미디움은 600만원, 770만원이던 리지백은 652만원, 클래식 점보는 715만원에서 600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보이샤넬 미디엄의 경우 681만원에서 524만원으로 낮췄으며, 612만원이었던 스몰 역시 470만원으로 내렸다

 

한 해에도 여러 번 가격을 올리던 것과 비교하면 그리 큰 인하폭은 아니다.

 

 

'폭등 수준'의 가격 인상정책을 쓰다가 경영환경 위축때문에 10%대 인하정책을 보이면서 고객들 지갑을 열게하는 것이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걸로 보인다.

 

이미 샤넬의 한국판매 가격 할인은 고객을 ‘호갱’으로 만들었다. 샤넬의 환불 기간은 15일로 다소 짧기 때문에 15일 전에 가방을 구매했던 사람들은 100만 원 이상 가격이 내렸음에도

그냥  눈물만 흘리며 가방을 바라봐야 한다.

 

 

 


샤넬의 '눈가리고 아웅'식의 가격정책이 장기적으로 큰 효과를 낼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가격 인하 정책의 이면에는 납득하기 어려운 가격 정책의 민낯이 재차 고스란히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만 가격을 낮추고, 유럽에서는 가격을 올리는 이중적 태도가 바로 그것이다.


샤넬 측은 이에 대해 전 세계 샤넬 제품 가격을 맞추기 위함이라고 해명했지만, 한국 소비자들이 ‘호갱(호구+고객)’이 아닌 이상 샤넬측 속내를 모를리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유독 콧대를 높였던 샤넬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었던 것인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실제로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은 이번 가격 할인으로 643만 원에서 538만 원으로 가격이 내린다. 하지만 유럽의 가격(3550유로, 약 422만4500원)과 비교해도 여전히 100만 원 이상 가격 차이가 난다.

 

 

 


 

코코샤넬은 “럭셔리는 빈곤함의 반대말이 아니라 천박함의 반대말이다”라는 말로 전 세계 여성들의 마음을 뒤흔들었다. 하지만 나라에 따라 천차만별의 가격정책을 내세우는 일이야 말로 돈만 추구하는 천박한 경영 행태가 아닐까 싶다.

 

공감하신다면  아래이미지하트~이미지 꾸~~욱 눌러주세요

(로그인 안하셔도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