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환경보호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 오염도는 실외보다 보통 2~5배 높고, 겨울에는 실내 공기차단 등으로 인해 10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왜 실내 공기가 더 좋지 않을까?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인자로는 건물 자재, 카펫류 ,합성목재로 만들어진 가구류,가정청소도구 ,중앙냉난방시스템,가습기,라돈,공기청정제,연소물질(기름, 가스, 석탄, 목재 등),개인용품(헤어스프레이, 네일 리무버, 향수 등) ,취미 물품(풀, 에폭시, 페인트 제거액 등),살충제 등을 꼽을 수 있다.
환기는 어느 정도 필요할까? 겨울에는 환기 조절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자칫 실내 온도 저하로 추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환기 횟수는 하루 2,3번 10분 이상 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생활하는 교실이나 사무실에서는 일반 가정집 보다 최소 5-10배 이상의 환기가 필요하다.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라=살충제, 화학물질 청소제, 공기 청정제 등을 뿌리는 것을 피한다. 집안 페인트 칠을 해야 할 때는 무독성, 저용량 혹은 제로 VOC(휘발성유기화합물) 페인트 제품을 골라 사용한다. 가구나 카펫 등을 고를 때는 친환경 자재로 만들어진 제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
환기 횟수를 늘려라 =대부분의 냉난방 시스템은 공기를 순환시키지 못한다. 환기를 위해서는 바깥과 연결된 창문과 환풍구를 열어야 한다. 환기라는 개념은 실내외 공기의 순환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실내공기질(IAQ) 평가 항목에 따르면 환기는 반드시 숨쉴 수 있는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가 과도하게 습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때는 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을 고르고, 필터를 자주 갈아주도록 한다.
집을 깨끗이 하라 =규칙적으로 먼지를 제거하고, 청소를 해 줌으로써 집먼지 진드기나, 꽃가루, 비듬 등 박테리아 서식을 최소화 한다. 특히 집먼지 진드기와의 동침을 피하려면 침대, 베개 등 직물이 있는 곳의 위생을 철저히 해야한다. 또한 청소와 함께 공기의 습도 조절도 중요하다. 너무 건조하지도 너무 습하지도 않은 상태의 습도지수는 30~60%가 가장 좋다. 만약 너무 건조하다고 생각하면 습도제를 사용하고, 깨끗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기사 코메디닷컴 참조)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입과자 베스트3 (0) | 2015.02.06 |
---|---|
글루텐 프리 상품 인기중 (0) | 2015.02.02 |
아시아컵 축구 한국:이라크 경기 실시간 보기 (0) | 2015.01.26 |
아시안컵 8강 대진표 일정 (0) | 2015.01.21 |
AFC 아시안컵 호주 2015 한국과 호주경기 17일 오후6시 시작 (0) | 2015.01.17 |